김이삭 기자 hiro@hk.co.kr
지난해 서울지역 초ㆍ중ㆍ고생 4,600여명이 학교 급식비를 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.
서울시교육청은 올 2월까지 지난해분 급식비를 내지 않았거나 못 낸 학생이 초등학교 599명, 중학교 1,500명, 고교 2,562명 등 총 4,661명으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. 이는 서울 전체 초ㆍ중ㆍ고 학생의 0.3% 수준으로 미납액은 5억3,000만원에 달했다.
2007년도분 급식비를 미납한 학생은 3,091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1,325명은 올 2월까지도 여전히 급식비를 납부하지 못했다.
급식비 미납 학생 증가는 최근 경기침체 여파로 서민 계층의 경제 상황이 악화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. 특히 기초생활수급권자 등 대부분의 저소득층 학생에게 무료 급식이 이뤄지는 점을 감안하면 적지 않은 숫자라는 게 시교육청의 설명이다.
이에 따라 교육 당국도 올해 급식 지원대상을 확대하기로 했다. 시교육청은 올해 경기 전망을 고려해 급식비 지원대상을 당초 9만4,000명으로 잡았다가 추가경정 예산을 통해 11만3,000명으로 늘렸다.
한국일보-2009.04.06
서울시교육청은 올 2월까지 지난해분 급식비를 내지 않았거나 못 낸 학생이 초등학교 599명, 중학교 1,500명, 고교 2,562명 등 총 4,661명으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. 이는 서울 전체 초ㆍ중ㆍ고 학생의 0.3% 수준으로 미납액은 5억3,000만원에 달했다.
2007년도분 급식비를 미납한 학생은 3,091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1,325명은 올 2월까지도 여전히 급식비를 납부하지 못했다.
급식비 미납 학생 증가는 최근 경기침체 여파로 서민 계층의 경제 상황이 악화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. 특히 기초생활수급권자 등 대부분의 저소득층 학생에게 무료 급식이 이뤄지는 점을 감안하면 적지 않은 숫자라는 게 시교육청의 설명이다.
이에 따라 교육 당국도 올해 급식 지원대상을 확대하기로 했다. 시교육청은 올해 경기 전망을 고려해 급식비 지원대상을 당초 9만4,000명으로 잡았다가 추가경정 예산을 통해 11만3,000명으로 늘렸다.
한국일보-2009.04.06
'생태환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읽어볼 만한 책] 육식의 종말(요약본) (0) | 2010.06.30 |
---|---|
홍천 명동리에서 전통혼례 체험 (0) | 2009.06.10 |
채식을 하면 지구를 살릴 수 있어요 (0) | 2009.02.16 |
< FDA, 땅콩버터 파문으로 최대 위기> (0) | 2009.02.04 |
[지혜의 아침―김기석] 착한 노래가 듣고 싶다 (0) | 2008.11.05 |